참  여

이달의 칼럼


     

      광주시청의 용역발주로 친일잔재 조사가 2018년 하반기에 추진되었다. 전국 최초였다. 예산은 소규모였고 기한은 짧았지만, 처음부터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10월 중간보고회 때 광주시내 모 중학교 교목인 ‘가이스가향나무’가 일본 나무라고 지적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향나무’로 수정했다(학교 홈페이지 참조). 눈 가리고 아웅 식이지만, 용역의 위력이 발휘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보아도 과언은 아니다.
     

      12월 최종보고회 이후 파급은 더 거세졌다. 가장 먼저 나타난 반응은 학교 교가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었다. 친일 작곡가가 작곡한 교가를 더 이상 부를 수 없다며 일부 학교에서 교가 교체를 선언하자, 그 움직임은 계속 꼬리를 물어 거의 모든 학교가 교체 대열에 들어섰다. 특히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선봉에 섰던 시내 고교와 대학의 교가가 그렇다는데 대해 많은 시민들이 놀래기도 했다.
     

      그런데 더 이상의 것은 광주에서 모색되고 있지 않다. 친일인사의 선정비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일제의 경제수탈과 관련된 역사 유적은 어떻게 활용하여 우리 광주의 문화적 자산을 확충할 것인지에 대한 윤곽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일제의 식민통치 잔재와 관련된 시설과 시설물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많은 시민들은 가시적 조치를 기다리고 있다. 설만 난무했지, 윤곽은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행여 자신의 재산권이 침해받지는 않는지 미리 걱정하는 사람마저 있다. 3⋅1운동 1백주년인 금년 2019년이 가기 전에 서둘러 가닥을 잡을 일이다.
     

      이런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뿌듯한 것은 타 지역에서 광주 사례를 활용하여 친일잔재 조사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광주시교육청에서 학교 내 친일잔재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전남교육청에서도 유무형의 친일잔재와 함께 교육현장에서의 친일잔재도 조사하려고 한다. 충남교육청이 가장 발 빠르게 움직여 현재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 충남의 보령시에서도 추진해야겠다면서 필자에게 자문을 의뢰하기도 했다. 해남군에서는 그곳 3⋅1운동 기념탑이 친일 충혼탑을 재활용한 것이라는 광주 용역팀의 지적을 보고 실태와 해결방안을 언론에서 보도하기도 했다. 고무적인 일이다.
     

      이상을 토대로 볼 때, 광주시의 친일잔재 조사용역은 저비용 고효율 사례에 해당된다. 꼭 해야 할 것을 시의적절 하게 했기 때문에 그런 효과를 낸 것이다. ‘듣보잡’에 의해 돈만 잡아먹고 효용가치는 적은 예산 낭비성 용역이 적지 않은 현실에서 참고할 사례임에는 분명하다.


    주소:(우)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3 (금남로3가) 삼호별관 2층
    전화:062)234-2727 팩스:062)234-2728 이메일:r-cultural@hanmail.net
    주소:(우)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3 (금남로3가) 삼호별관 2층 전화:062)234-2727 팩스:062)234-2728 이메일:r-cultural@hanmail.ne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