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림
광장에서 펼친 전문 작가와 시민 작가의 100인 드로잉 퍼포먼스
인문·사회 토크쇼, 공연, 전시, AI·친환경 체험으로 꾸린 다채로운 무대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이하 재단)이 주최한 ‘2025 세계 지성이 광주를 말하다’가 6월 14일 5·18 민주광장에서 열렸다. 재단은 지역과 세계,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새로운 문화 플랫폼을 지향하며 ‘인문·예술·테크놀로지’ 축제라는 새 장을 열었다.
올해로 5회를 맞은 축제는 슬로건으로 ‘로컬 : 뿌리다’를 내걸었다. 지역이 곧 뿌리(근본)이고, 지역이 뿌리는(전파하는) 주체라는 뜻을 담았다. 이번 축제는 지역 시민의 삶과 문화를 새로운 문화 확산 씨앗으로 삼고자 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드로-잇 로컬
‘드로-잇 로컬(Draw-it Local)’은 릴레이 드로잉 퍼포먼스이다. 이번 축제에는 지역의 전문 화가들과 지역 웹툰 작가, 전공 학생 작가, 시민 가족 작가 등이 참여했다. 약 100여 명의 시민이 ‘내가 생각하는 지역 문화’, ‘지역의 미래’를 주제로 5·18 민주광장에서 대규모 릴레이 드로잉 퍼포먼스를 펼쳤다.
참여 작가들은 지역 문화의 가치를 발굴하려는 시민의 의지가 담긴 작품으로 광장을 채워나갔다. 오늘 지역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이 남긴 이야기를 그림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 모든 시민에게 열린 공간 5·18 민주광장에서 만들어진 작가들의 창작물은 지역 문화의 부활을 염원하는 감동의 물결을 일으켰다.
로컬의 울림
‘로컬의 울림’은 다양한 장르로 시민들의 발걸음을 붙잡은 공연 프로그램이다. 공연 역시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를 모셨다. 오프닝 공연은 전통문화연구회 얼쑤, 타악그룹 얼쑤, 전통연희놀이연구소가 참여했다. 우리의 얼이 녹아 있는 전통 음악으로 성대하게 축제의 문을 열었다.
해가 저물고 무대의 열기가 달아오를 때, 놀이패 신명의 연극 ‘언젠가 봄날에’가 펼쳐졌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가 된 사람과 그 가족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연극은 구 전남도청 앞에서 광주의 현재를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감동과 사유의 시간을 선물했다.
LED 모듬북 퍼포먼스로 참여한 해마루 예술단은 ‘열린 무대 광주’를 주제로 무대를 선보였다. 피날레는 실용무용팀 리바운드, 한국무용팀 서영무용단, 광주 로얄발레단이 장식했다. 일상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발레 공연과 한국 무용을 낮은 무대 위에서 펼침으로써 예술이 시민의 삶과 직접 연결되어 수많은 시민을 머무르게 하는 울림의 순간을 빚어냈다. 현장에 함께한 관객은 “일상과 가까운 곳에 예술이 있다는 걸 다시금 느꼈다”며 소감을 밝혔다.
로컬의 목소리
「민주 광장 아고라: 지역을 말하고, 미래를 뿌리다」라는 주제로 인문학 토크쇼 ‘로컬의 목소리’가 진행되었다. 장우권 교수, 강대선 시인, 홍종의 작가와 함께 문화 민주주의와 지역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했다. 각 분야에서 지역과 삶에 대해 깊이 고민하던 작가들의 생각과 시민들의 이야기가 만나, 고대 그리스에서 시민들이 자유롭게 토론을 벌이고 이야기를 나누었던 아고라가, 민주광장 아고라로 재탄생한 현장을 연출했다.
로컬의 기술
지역 인공지능(AI) 창업 기업이 참여한 ‘로컬의 기술’ 프로그램에서는 AI 기반 체험 부스와 예술과 기술을 융합한 콘텐츠가 주목 받았다. 체험 부스에는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한국AI융합콘텐츠 협회 소속 1인 창업기업인 스토리그린, 스포티즘82, 매운깻잎, 밤산책가, 디피테, 폴리곤플러스, 버블랙컴퍼니가 함께했다.
AI 그림 제작 체험과 AI 콘텐츠 기기 체험은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특히 사진을 찍으면 AI로 만들어주는 기기 앞은 북새통을 이루었다. 덕분에 지역이 가진 문화기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린-잇 로컬
인문과 환경이 만난 ‘그린-잇(Green-it Local)’ 체험 부스도 시민들의 인기를 끌었다. 환경X인문 도서 전시와 친환경 교구 체험 그리고 친환경 모기퇴치인형키링 제작 부스가 운영되었다. 특히 친환경 모기퇴치인형키링 만들기 체험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인문학적 사유와 환경 감수성이 어우러진 특별한 체험 공간이었다.
문화의 싹을 틔우는 내년을 기약하며
시민들이 주인공이 된 ‘2025 세계 지성이 광주를 말하다’가 화려하게 막을 내렸다. 노경수 재단 이사장은 개회를 선언하며 ‘이번 축제는 지역의 삶에서 길어 올린 가치와 광주 정신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시민의 일상 속 문화로 피어나 도시 전반에 퍼져나가게 할 것’이라는 인사말을 남겼다. 재단의 포부대로 시민의 일상 곳곳에 인문과 예술과 기술이 스며든 축제였다는 평가가 자자하다.
축제의 시작과 끝을 지킨 노경수 재단 이사장은 “이번 축제는 단순한 문화 향유를 넘어, 시민이 스스로 문화의 생산자가 되는 경험을 공유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시민이 함께하는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시도와 실천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재단은 앞으로 지역이 가진 인문·예술·테크놀로지 자원의 위상을 알리는 데 더 노력할 것이라며, 더욱 다양한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내는 ‘세계 지성이 광주를 말하다’로 찾아오겠다고 밝혔다.
한편 ‘세계 지성이 광주를 말하다’는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5·18 민주광장에서 열리는 시민 참여형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인문·예술·테크놀로지가 어우러진 융복합문화예술축제로 발돋움하여 지역사회에 깊은 울림을 주었다.